영어 문법 박살내기 시리즈/조동사 박살내기
조동사 19] might 가 may 의 과거인 유일한 경우
영어멘토
2021. 5. 21. 12:32
[19] 조동사 박살내기 프로젝트 19번째 시간
오늘은
might 는
항상 may 의 과거는 아니다
라는 것을 명확히
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18강에서 may, might 의
기본적인 의미와 사용법을
알아보았습니다.
https://business-english.tistory.com/45
오늘은 그동안,
우리가 너무나 잘못 배워온
고정관념 하나를
바로 잡는 시간입니다.
★ might 는 may 의 과거 ?
맞는 말입니다만,
딱 한가지 경우만 해당됩니다.
딱 1개의 경우 !!
→간접화법에서 시제일치
[직접화법]
He said, "I may go to London"
그는 말했다 "나 런던에 갈지도 몰라"
→" 직접대화 "→ 인용부호 속
※ 인용부호 속에는
직접대화의 내용을
그대로 씁니다.
[간접화법]
He said that he might go to London.
그는 런던에 갈지 모른다고 이야기했었다.
간접화법 → 인용부호 삭제
→ 주절의동사 said(과거)와 시제일치
→ may가 might 로
→ I 가 He 로
※ 이 경우를 제외하면
might 가 may 의 과거인 경우는
없습니다.
나머지 경우에서는
may = might 이며
"아마 ~ 할것이다" 라는
확실치 않음을 나타내는
may의 과거 might 와는
전혀다른 독립된
조동사 might 입니다.
오늘은,
might 가 may의 과거인
유일한 경우를 알아보았습니다.
행복한 하루들 되세요 ^^